'생분해 플라스틱' 분해된 조각 분석했더니..."생태독성 없다"

경제 / 이재은 기자 / 2023-07-07 08:00:02
佛연구팀 생분해성 플라스틱 '실증'
덜 분해돼도 토양에 섞이면 분해돼
▲생분해성 플라스틱 포장재 퇴비화 전후 비교 (사진=토탈에너지스 콜비온)


생분해 플라스틱은 덜 분해되더라도 생태독성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네덜란드 바이오플라스틱 제조업체 토탈에너지스 콜비온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실제 퇴비화 가능성' 문제를 두고 지난달 19일 한 연구 보고서를 공개했다. 지속가능한 포장재 공급망 조성을 위한 후원재단 셰코팩(Chaire CoPack), 프랑스 몽펠리에대학교, 아그로파리테크 등이 참여한 이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유해성 및 최종 퇴비의 품질에 대한 검증이 진행됐다.

연구팀은 가정에서 수거한 20톤 분량의 음식물과 323kg의 포장재더미를 산업퇴비화 시설에 넣어 4개월동안 분해과정을 지켜봤다. 포장재들은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음식물 트레이, 비닐봉지, 커피캡슐 등으로 PLA나 PBAT 등 생분해성 플라스틱 재질로 인증된 폐기물이었다.

그 결과, 생분해성 포장재들은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퇴비의 농경학적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결론지었다. 추가적인 산소를 투입하는 등 분해를 촉진하는 별도의 조건 추가 없이도 퇴비 수율에 긍정적인 영향과 함께 퇴비 품질이 입증된 것이다.

완전히 분해되지 않는 채 퇴비에 남아있는 생분해 플라스틱의 미세조각들에 대한 성분검토도 진행됐다. 분해가 덜 이뤄진 경우에도 실제 토양에 들어가게 되면 미생물에 의해 즉각 추가 분해가 진행됐다. 분해 속도도 퇴비에 남아 있을 때보다 더 빨라졌다. 고등식물, 물벼룩, 지렁이 등 독성에 민감한 생물들에게도 특별한 영향이 없었다.

이에 따라 생분해 미세플라스틱 누출 위험에 대한 우려, 또 특정 퇴비화 조건이 충족되지 못하면 분해가 어렵다는 우려로 '그린워싱' 논란에 휩싸여 활성화가 가로막힌 생분해성 플라스틱 업계의 중요한 근거자료로 쓰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파올로 라 스콜라 토탈에너지스 콜비온 홍보과장은 "이번 연구결과는 생분해성 플라스틱만을 위한 별도 선별수거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는 점을 각국 정부에 강력하게 상기시킬 것"이라며 "음식물쓰레기와 일회용 포장재를 동시에 처리하는 데 있어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필수적인 요소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에 공급망 전반에서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퇴비화 가능한 포장재와 별도 선별수거의 이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뉴스;트리

회사명 : 뉴스;트리

인터넷신문등록 : 서울, 아53225 | 등록일 : 2020년 8월 6일

발행인 : 윤미경 | 편집인 : 윤미경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조인준

서울 강남구 도곡로 538 (대치동)

전화 : 02.6207-1005

팩스 : 02.6207-1011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