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탄소창고 '북극'…이제는 지구온난화 '부채질'

사회 / 손민기 기자 / 2025-01-30 08:30:02
▲녹고 있는 영구 동토층 (사진=연합뉴스)


지구의 거대한 '탄소창고' 역할을 하던 북극의 툰드라와 숲, 습지의 3분의 1이 탄소배출원이 됐다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구동토층에 수 천년간 동결 상태로 저장돼오던 탄소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배출되고 있는 것이다.

우드웰 기후연구센터 수 네이탈리 박사 연구팀이 기계학습 모델을 활용해 북극과 북방지역의 이산화탄소 흐름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산화탄소 흡수원 역할을 해왔던 이 지역의 30% 이상이 2001년~2020년 사이에 '이산화탄소 배출원' 역할을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북극 토양에는 엄청난 양의 탄소가 저장돼 있다. 이는 지구 전체 토양 탄소량의 절반에 가깝다. 대기보다 더 많은 탄소를 머금고 있는 시베리아, 알래스카, 북유럽, 캐나다에 걸쳐 있는 북극 토양은 지구의 대기를 식히는 역할을 해왔지만 기후가 따뜻해지면서 이 지역의 탄소순환이 바뀌기 시작한 것이다.

연구팀은 "기온상승으로 인해 북극 생태계가 점차 많은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으로 방출해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며 "북극 지역의 30% 이상이 이산화탄소 배출원이 됐으며, 산불로 인한 배출을 포함하면 이 비율이 40%에 달한다"고 밝혔다. 

연구원들은 이 과정이 바로 '영구동토층-탄소 피드백(permafrost-carbon feedback)'이라고 설명했다. 영구동토층에서는 대부분의 토양이 1년 내내 완전히 얼어있었지만, 이제는 기온이 상승하면서 분해가능한 유기물이 더 많아지고 탄소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 네이탈리 박사는 "북극이 점점 더 녹색으로 변하면서 이같은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영구동토층이 녹으면 식물이 더 많이 자라서 탄소저장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기도 하지만 결국 영구동토층이 계속 녹으면서 미생물이 활동하게 되고 땅속에 저장된 탄소들이 방출되기 시작한다"고 우려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21일자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뉴스;트리

회사명 : 뉴스;트리

인터넷신문등록 : 서울, 아53225 | 등록일 : 2020년 8월 6일

발행인 : 윤미경 | 편집인 : 윤미경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조인준

서울 강남구 도곡로 538 (대치동)

전화 : 02.6207-1005

팩스 : 02.6207-1011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