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아끼려다 되레 자원낭비?…IoT기술 '녹색 역설' 드러났다

IT과학 / 송상민 기자 / 2025-06-19 11:14:02


건물의 에너지와 열효율 향상을 위해 활용되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오히려 새로운 환경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아랍에미리트 샤르자대학교 연구진은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IoT 기반 에너지 효율 연구(IoT-TE)가 지속가능발전목표(SDG) 달성에 기여하는 동시에 환경적 부작용도 내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이 오히려 새로운 환경 부담을 낳을 수 있다는 '녹색 역설'을 계량적으로 제시한 첫 사례다.

연구진은 "IoT 기술이 실내 환경 감시와 자동제어를 통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낼 수 있으나, 그 자체의 생산·운영 과정에서 새로운 자원 소비와 전력 사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논문은 IoT 기기 생산에 필요한 희귀 금속과 화학물질 사용, 제조에 따른 에너지 소비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 "대규모 IoT 시스템 도입이 장기적으로는 탄소배출과 자원고갈을 유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전자폐기물 문제도 부각됐다. IoT 기기의 수명은 짧고 대량 보급되는 특성상 폐기 시점에 방대한 쓰레기를 남길 수 있다. 연구는 "현재 전자폐기물의 재활용률은 20%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운영 측면에서도 역설이 드러난다. 시스템 유지에 상시 전력 공급이 필요하며,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과 분석 과정 자체가 또 다른 에너지 소모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IoT 기술이 에너지 절감과 지속가능성에 기여하기 위해선, 기기 설계 단계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에 걸친 환경 영향을 면밀히 고려해야 한다"며, "기술이 곧 지속가능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ScienceDirect' 6월 16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뉴스;트리

회사명 : 뉴스;트리

인터넷신문등록 : 서울, 아53225 | 등록일 : 2020년 8월 6일

발행인 : 윤미경 | 편집인 : 윤미경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조인준

서울 강남구 도곡로 538 (대치동)

전화 : 02.6207-1005

팩스 : 02.6207-1011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