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이 사라지는 바다...기후변화로 식물성 플랑크톤 감소

사회 / 김나윤 기자 / 2025-10-20 11:58:03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바다에서 녹색이 사라지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과 중국 칭화대학 연구팀은 2001~2023년 중·저위도 해양의 일일 엽록소 농도를 분석한 결과, 지구온난화로 식물성 플랑크톤이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생물권 생산성의 50%를 차지하는 먹이사슬의 기반으로, 이 생물이 풍부한 수역은 녹색을 띤다. 식물성 플랑크톤의 변화는 산소 수치와 먹이사슬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연구팀은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위성과 관측선에서 수집한 데이터에서 해양의 색조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약 20년간 바다의 녹색 면적이 매년 약 0.35마이크로그램/m³씩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안 지역에서는 2배, 하구 근처에서는 4배 이상 더 크게 감소했다.
 
연구팀은 이로 인해 바다의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탄소 격리 용량이 연간 0.088%, 3200만톤씩 감소하고 있다는 추정이다.
 
원인은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승으로 지목됐다. 해양 상층부가 뜨거워지면서 차가운 심해와의 온도 차이가 벌어졌고, 이로 인해 식물성 플랑크톤이 의존하는 영양소가 심해에서 올라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바다에서 녹조, 적조 등 조류가 증가하고 있다는 기존 연구와 상반된다. 이에 관해 연구팀은 이전 연구들이 지역적 요인에 초점을 맞춰 포괄적인 원인을 아우르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일부 지역에서는 농업 및 기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유출수로 조류가 늘어날 수 있다면서도, 중저위도 해역에서는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결론내렸다.
 
보고서는 "이러한 변화는 해양 생태계 기능의 규모와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해안 지역의 생태 환경을 분석하고 농업 비료, 하수 배출, 삼림벌채 및 수질오염에 대한 보다 신중한 관리 대책을 세워야 한다"면서도, 세계 최대의 천연 탄소저장고인 바다의 탄소 저장기능이 약화되는 이 시점에서 기후위기를 어떻게 해결할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다.
 
연구 공동저자인 마이클 만 펜실베이니아대학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해양의 녹색도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실하게 입증한 최초의 연구"라며 "이는 해양 생산성 저하를 의미하며,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인류에 대한 또다른 위협"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공동저자 디 롱 칭화대학 박사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탄소 저장량 감소는 탄소순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며 "해양 탄소포집 능력의 감소로 우리가 감축해야 하는 탄소양이 예상보다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뉴스;트리

회사명 : 뉴스;트리

인터넷신문등록 : 서울, 아53225 | 등록일 : 2020년 8월 6일

발행인 : 윤미경 | 편집인 : 윤미경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조인준

서울 강남구 도곡로 538 (대치동)

전화 : 02.6207-1005

팩스 : 02.6207-1011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