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기후변화에 강한 도시상권을 찾아내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와 서울AI재단과 함께 도시의 기후 회복력과 시민의 웰빙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연구성과를 '스마트 라이프 위크 2025'에서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도시의 열과 매출', '치유하는 자연, 서울', '데이터 소리화' 등 세 가지 프로젝트로 구성됐다. '도시의 열과 매출'은 서울 426개 행정동, 96개 업종의 매출과 기후 데이터를 분석해 기온과 습도가 업종별 매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밀하게 살핀 연구다.
총 3억건이 넘는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이 폭염과 폭우 등 기후 요인이 상권별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했으며, 이를 통해 지역별 상권의 기후 회복력을 나타내는 4만여 개의 지표가 도출됐다. 이를 기반으로 어느 지역이 기후 변화에 강한 상권인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관람객은 서울 지도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과 업종을 선택해 미래 기온 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매출 변화를 실시간으로 예측해볼 수 있었다.
'치유하는 자연, 서울'은 시민이 실제로 느끼는 녹지의 심리적 경험을 인공지능이 추정한 연구다. 거리와 공원, 위성 이미지, 시민 설문 데이터를 결합해 단순히 나무나 공원의 면적을 계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이 체감하는 정서적 회복력과 행복감을 함께 반영한 도시 설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물리적 환경뿐 아니라 시민의 심리적 웰빙이 도시 회복력에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했다.
'데이터 소리화'는 온도, 습도, 매출 등 데이터를 음의 높낮이로 바꿔 들을 수 있게 만든 기술이다. 기온이 오르면 음이 높아지고 매출이 줄면 낮아지는 식으로 정보를 소리로 표현해, 시각장애인이나 어린이 등 시각 정보 접근이 어려운 사람도 도시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서울AI재단 김만기 이사장은 "시민의 시선에서 도시 변화를 이해하고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KAIST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이 도시를 계산하는 기술을 넘어 사람과 도시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지능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 김혜지 기자 gpwl0218@ 다른기사보기

































최신뉴스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