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발간될 'IPCC 기후변화 보고서'에 갯벌도 탄소흡수원으로 포함된다.
유엔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2027년 발간할 '이산화탄소 제거와 탄소 포집·활용 및 저장 방법론 보고서' 개요를 승인했다고 기상청이 4일 밝혔다.
IPCC는 지난달 27∼30일 페루 리마에서 진행된 63차 총회에서 이같이 결정했다. 이번 승인으로 7차 평가 주기에 작성될 모든 보고서에 어떤 내용을 담을지가 정해졌으며 저자를 선정할 수 있게 됐다.
IPCC 주관 부처인 기상청은 보고서 개요에 갯벌과 해조류, 조하대(연안 구역으로 조석에 상관없이 항상 바닷물에 잠긴 곳) 퇴적물을 새로운 탄소 흡수원으로 포함하자는 한국 등의 입장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IPCC는 5∼7년마다 기후변화 현황을 평가하고 전망을 담은 보고서를 내놓고 있다. 현재는 제7차 평가 주기 보고서 작성을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7차 평가 주기에는 이산화탄소 제거와 탄소 포집·활용 및 저장 방법론 보고서를 비롯해 방법론 보고서 2개가 작성될 예정이다. IPCC 방법론 보고서는 각국이 유엔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고할 때 적용한다.
한국을 비롯한 선진국과 최빈개도국은 2028년 파리기후변화협정에 따른 제2차 전 지구적 이행점검(GST)에 맞춰 2028년까지 보고서가 발간돼야 한다는 입장을, 나머지 개도국들은 상대적으로 역량이 부족한 개도국 전문가들의 입장과 각 지역의 '토착 지식'을 반영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가져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총회에서는 7차 평가보고서 발간 일정도 논의됐다. 기상청은 "국내 전문가들이 보고서 작성에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 김나윤 기자 jamini2010@ 다른기사보기
 

































최신뉴스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