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지대서 홍수?…빙하 녹아내려 1500만명 위기

세계 / 이재은 기자 / 2023-02-08 10:57:00
온난화로 빙하호 30년새 50% 급증
남미 안데스산맥 주변이 가장 위험
▲네팔 쿰부 히말의 랑모체 계곡에 있는 '딕초' 빙하호수. 딕초 호수는 1985년 얼음 눈사태로 인한 충격파로 호수 둑이 무너지면서 홍수가 발생, 인근 수력발전소와 지역 기반시설에 큰 피해를 줬다. 아시아 고산지대는 빙하호수 붕괴 홍수 위험이 가장 크고 위험에 노출된 인구도 가장 많은 지역으로 꼽힌다. (사진=연합뉴스)


지구온난화로 고산지대 빙하가 급격히 녹아내리면서 쏟아지는 물에 전세계 1500만명이 홍수 위험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 캔터베리대학교 톰 로빈슨 교수와 영국 뉴캐슬대학교 캐럴라인 테일러 교수팀은 기후변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히말라야 고산지대와 안데스산맥 등 곳곳에 빙하호수가 생겨나고 있고, 이에 따라 둑이 무너질 경우 홍수로 대규모 인명·재산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1990년 이래 전세계 빙하호수의 수, 면적, 저수량이 각각 53%, 51%, 4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고, 증가 추세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2020년 기준 전세계 빙하호수 상태와 이들 호수가 위치한 30개국 1089개 분지의 주민 거주 정보 등을 결합해 밝혀낸 수치다.

빙하호수에 인접해 살아가는 주민들은 아시아 고산지대인 인도, 파키스탄, 중국과 남미 안데스산맥 주변인 페루, 볼리비아 국민 9000만여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빙하호수 붕괴 홍수'(GLOF)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 영향권에 거주하는 주민은 1500만명 정도로 절반 이상이 인도, 파키스탄, 페루, 중국 등 4개국 국민이다.

특히 GLOF 위험은 아시아 고산지대가 더 높지만, 더 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안데스산맥이라고 연구팀은 전했다. 아시아 고산지대는 비교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GLOF 위험이 알려져 있고, 대비도 진행되고 있지만, 안데스산맥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앞으로 기후변화로 빙하가 계속 녹아 현재의 빙하호수는 더 커지고 새 빙하호수가 생겨나면서 각 지역의 GLOF 위험도 변할 것이라며 이번 연구가 향후 GLOF 위험을 관리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논문은 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뉴스;트리

회사명 : 뉴스;트리

인터넷신문등록 : 서울, 아53225 | 등록일 : 2020년 8월 6일

발행인 : 윤미경 | 편집인 : 윤미경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조인준

서울 강남구 도곡로 538 (대치동)

전화 : 02.6207-1005

팩스 : 02.6207-1011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