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KB·하나·우리...금융지주, 상반기 ESG평가 S등급 '싹쓸이'

경제 / 김나윤 기자 / 2025-10-21 16:31:03
한국ESG평가원, 상반기 100개社 ESG 평가
최우수기업 6개사 선정...하반기 순위 바뀔듯


신한금융, 네이버, KB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 KT 등 6개사가 한국ESG평가원에서 실시하는 올 상반기 ESG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한국ESG평가원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표한 주요 100대 상장 대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도 정기 ESG평가를 실시해 'A+' 이상 등급을 받은 14개 기업을 ESG경영 우수기업으로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가운데 최우수 기업인 'S등급'을 받은 기업은 6곳이다. 

다만 최우수 기업 6곳 가운데 올 하반기 해킹으로 소액결제 사태를 빚은 KT는 하반기 평가에서 등급이 곤두박질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지배구조 개선 이슈에 트럼프발 관세 직격탄을 맞은 현대자동차도 S등급에서 A+로, 유심사태를 촉발한 SK텔레콤은 A+등급에서 A등급으로 각각 한 단계씩 하향조정됐다.

올 상반기 정기평가는 지난 8~9월 발표된 국내 상장회사들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와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언론에 보도된 논란 이슈 등을 종합한 평가원의 자체 평가모델을 통해 실시됐다.

이번 평가에서 신한금융이 100점 만점에서 82.3점을 맞아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S등급을 받은 네이버(82.0점)와 KB금융(81.4점), 하나금융(80.4점), KT(80.1점), 우리금융(80.1점)이 그 뒤를 이었다.

삼성전자와 기아, 현대자동차, SK, 기업은행, 현대모비스, 카카오, LG유플러스 등 8개사는 'A+' 등급에 이름을 올리며 ESG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 이어 삼성생명, 미래에셋증권, 삼성카드, 삼성물산, KT&G, 롯데지주, 코웨이, 한국금융지주, BNK금융지주, 삼성화재 등 35개사는 'A'등급을 받았다.

삼성전기, 이마트, 강원랜드, 현대글로비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넥스원, 두산에너빌리티, 키움증권, 삼성E&A, 고려아연 등 41개사는 'B+' 등급을, 포스코인터내셔널, 한온시스템, 한미약품, 삼성중공업, 효성중공업, LG화학 등 9개사는 'B' 등급을 받았다. 저조한 'C+'등급에는 한솔케미칼이 유일했으며, 최하위인 'C'등급은 없었다.

이번 평가에서 총 25개사가 등급이 상향 조정됐고, 10개사는 하향 조정됐다. 특히 카카오는 B+에서 A+로 두 단계나 뛰어올라 긍정적 변화가 가장 큰 기업으로 주목받았다. 네이버·하나금융은 S등급으로 각각 한 단계 상향됐다.

또 기업은행·LG유플러스가 A등급에서 A+등급으로 상향됐고, BNK금융·메리츠금융·유한양행 등 11개사는 B+에서 A로 상승했다. 고려아연·두산 등 9개사는 B에서 B+로 상승했다.

등급이 하향된 기업은 현대자동차(S → A+), 삼성생명·삼성물산·KT&G·SK텔레콤·SK하이닉스(A+ → A), 삼성전기·현대글로비스(A → B+), 포스코인터내셔널·LG화학 (B+ → B), 등 10개사다.

▲기업들의 평가등급 (자료=한국ESG평가원)


이번 평가에서는 신한금융이 지난해 1위인 KB금융을 제치고 1위를 했다. 뉴스 평가에서 하락했지만 E·S·G 모든 부문의 직접평가에서 개선추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신한금융을 포함한 S등급 기업 6개사 중 4곳이 금융지주사인 것으로 나타나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금융지주사들이 ESG경영을 선도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KB금융은 지난해 대비 S분야의 뉴스 평가에서 점수가 하락해 1위 자리를 내어주었지만, 여전히 ESG최우수 기업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하나금융은 지난해 A+에서 올해 S등급으로 상승했다. S와 G에서 직접평가의 개선추세가 나타났다.

네이버는 이번 평가에서 처음으로 S등급으로 상승하며, 전체 2위를 기록했다. IT최대기업으로서 S분야에서의 적극적인 활동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KT는 G분야 직접평가 전체 1위를 기록했다. 지난 2023년 불거진 지배구조 이슈를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고 평가됐다. 우리금융은 뉴스 평가가 상대적으로 부진했으나, 우수한 직접평가 실적에 의해 ESG최우수기업의 위상을 유지했다.

A+ 등급에서는 삼성전자가 지난해 대비 전체 점수가 소폭 상승했으나, S등급 복귀에는 실패했다. 거버넌스와 관련한 부정적인 뉴스가 희석되면서 뉴스평가의 개선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기아는 S분야에서 S등급을 기록하고 있으나, G분야가 이사회 구성과 운영면에서 개선할 여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약한 A등급을 기록했다.

현대차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 평가에서도 하락세가 나타났다. 특히 G분야 뉴스평가에서 점수가 크게 낮아졌는데, 최근 지배구조 개선 이슈가 부각되고 여전히 순환출자 구조를 해소하지 못한 점이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SK는 등급은 유지했으나 전체 평점과 순위(지난해 6위 → 10위)가 하락했다. 최근 SK이노베이션과 SK E&S합병 관련 주주보호 측면에서 부정적 의견이 발생함에 따라, G분야 뉴스평가가 부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카카오는 눈에 띄는 상승세(47위 → 13위)를 보였다. G분야에서 큰 폭으로 상승했는데, 그간 IT대기업으로서 ESG경영이 상대적으로 미흡했으나 이번 평가를 계기로 ESG우수기업 반열에 올랐다.

한국ESG평가원은 평가 대상 100대 기업의 ESG종합점수는 평균 70.5점, A등급으로 지난해 평가대비 +1.0점 상승했다고 밝혔다. 업종별로 보면 금융부문이 75.0점으로 작년과 마찬가지로 ESG종합점수 1위를 기록했고, 화학업종은 66.6점으로 가장 저조한 점수를 받았다. 

ESG 요소별 평균 점수는 △환경(E) 65.6(B+) △사회(S) 74.8(A) △거버넌스(G) 70.6(A)로 나타났다. E는 지난해 대비 소폭 하락(-0.2점)했지만 S부문과 +2.2점, G부문은 +1.2점 상승했다. E부문에서는 S등급이 전무했다. 그러나 S부문에서는 KB금융 등 16개사, G에서는 KT&G 등 8개사가 S등급을 받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뉴스;트리

회사명 : 뉴스;트리

인터넷신문등록 : 서울, 아53225 | 등록일 : 2020년 8월 6일

발행인 : 윤미경 | 편집인 : 윤미경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조인준

서울 강남구 도곡로 538 (대치동)

전화 : 02.6207-1005

팩스 : 02.6207-1011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