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세계적으로 1억1700만명의 기후난민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지난 10년간 발생한 전세계 기후난민 2억5000만명의 절반에 달한다.
기후난민의 영향을 다룬 유엔난민기구(UNHCR)의 두번째 보고서 'No Escape II: The Way Forward'에 따르면 올들어 현재까지 1억1700만명이 기후난민이 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홍수, 폭풍, 가뭄, 폭염, 사막화, 해수면 상승, 생태계 파괴 등 기후변화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뿐 아니라 식량을 둘러싼 전쟁으로 인한 난민과 물을 찾아 이주하는 난민까지 포함된 수치다. 난민이 발생하는 국가의 수도 2009년 이후 3배 증가했다.
난민의 대부분은 홍수와 가뭄, 산불, 전쟁에 의해 발생했다. 지난해의 경우, 홍수로 인해 터전을 잃은 이재민은 58만명에 달했다. 홍수 피해가 가장 심각했던 국가는 남미 베네수엘라와 아이티, 쿠바 등이다. 지난해 5월 브라질 리오그란데두술주에서는 홍수로 181명이 사망하는 일이 벌어졌고, 지난해 미얀마를 강타한 사이클론 '모카'는 라카인주에 거주하던 로힝야족 16만명의 터전을 파괴했다.
난민을 수용하는 대다수의 국가들도 기후와 분쟁에 취약한 실정이다. 가령 140만명 이상의 난민과 망명 신청자를 수용하고 있는 차드에서도 지난해 홍수가 발생해 130만명 이상이 집과 캠프를 떠나야 했다. 이 수는 지난 15년치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규모이다. 실향민의 약 절반이 수단, 시리아, 아이티, 콩고민주공화국, 레바논, 미얀마, 예멘 등에 머무르는데 이들 국가 모두 정치적 분쟁과 기후영향에 취약한 상태다. 이런 수용국들은 기후재정도 필요한 비용의 25%밖에 지원받지 못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열대·아열대 지역 난민 캠프가 직면하는 위험 수준의 폭염일수는 2050년까지 연간 약 200일로 늘고, 많은 지역은 인간이 거주할 수 없는 불모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로 인해 실향민의 4분의 3은 이주 후에도 기후관련 위험에 노출되고 있으며, 이주 빈도가 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난민기구는 "기후난민은 기후위기를 일으키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후위기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사람들"이라며 "기후위기가 국경 내외의 분쟁, 폭력, 강제 이주를 포함해 기존의 불평등과 불의를 악화시킨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기후재앙을 줄이고 빈곤국들이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급진적인 조치가 없다면 상황은 훨씬 더 악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유엔인권이사회는 10일 브라질 벨렝에서 개막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30)에서 빠르게 증가하는 인구에 주의를 기울일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 김나윤 기자 jamini2010@ 다른기사보기

































최신뉴스 보기